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북구 제1선거구(부산)

덤프버전 :

||
파일:북구_제1선거구(부산)8재.png
선거인 수65,912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북구 일부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덕천2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박대근 (재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북구의 남서부에 위치한 구포동, 덕천2동 일대를 관할한다. 교통의 요지로 거주 인원 대비 유동 인구가 꽤나 많은 곳이다.

낙동강 벨트라 불리는 곳 답게 민주당세도 만만치 않으나, 북구 지역 선거구 중에서는 가장 국민의힘 지지세가 높은 편이다. 구포동이 북구 안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도심이기 때문이다. 자유한국당이 궤멸하다시피 한 7회 지선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 성향의 후보가 승리했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북구 제1,2선거구
제2대김형정
ta-hash-start=w-0f9cfb7a9acced8a4167ea8006fdd080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1]
배학철[2]
제3대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3]
배상도1998년 7월 1일 ~ 2002년[4][5]
제4대배학철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3]
천판상[5]
북구 제1선거구
제5대손상용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[6]
북구 제1,4선거구
제6대이종택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6월 30일[1]
허태준[7]
제7대박대근
ta-hash-start=w-d579ede72da02c556686c7473b0b61eb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[1]
이상민[10]
북구 제1선거구
제8대조남구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[8]
제9대박대근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김형정(金炯正)-1위

ta-hash-start=w-3a92dfc4a48719ffb62440555c15d6c4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북구 제2선거구
금곡동, 화명동, 덕천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배학철(裵鶴喆)19,3521위

ta-hash-start=w-ae8b5aa26a3ae31612eec1d1f6ffbce9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56.60%당선
2정도준(丁度俊)14,8352위

무소속

43.39%낙선
선거인 수53,887투표율
66.46%
투표 수35,814
무효표 수1,627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금곡동, 화명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배학철(裵鶴喆)32,683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72.40%당선
2조남구(曺南球)12,4582위

ta-hash-start=w-2a0ea7b19f67a410ad4f230dc51773a1[[파일: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.svg
27.59%낙선
선거인 수111,320투표율
42.14%
투표 수46,918
무효표 수1,777

북구 제2선거구
덕천1동, 덕천2동, 덕천3동, 만덕1동, 만덕2동, 만덕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배상도(裵尙道)25,162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70.60%당선
3박현수(朴鉉秀)10,4772위

ta-hash-start=w-e14267dedd4e1d0cc0093bc13643fd59[[파일: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.svg
29.39%낙선
선거인 수84,754투표율
43.74%
투표 수37,077
무효표 수1,438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금곡동, 화명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배학철(裵鶴喆)28,454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9.55%당선
2여창호(余昌浩)6,7892위

ta-hash-start=w-82adc7458cf683e51e4007179497741b[[파일: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14.20%낙선
3강호열(姜鎬烈)6,2153위

ta-hash-start=w-3a30be93eb45566a90f4e95ee72a089a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13.00%낙선
4남한규(南韓奎)2,6785위
5.60%낙선
5손상용(孫相龍)3,6414위
7.62%낙선
선거인 수132,114투표율
36.94%
투표 수48,806
무효표 수1,029

북구 제2선거구
덕천1동, 덕천2동, 덕천3동, 만덕1동, 만덕2동, 만덕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천판상(千判祥)20,5451위
62.77%당선
3김정아(金晶雅)4,5763위
13.98%낙선
4김재훈(金宰塤)1,4154위
4.32%낙선
5박찬규(朴贊奎)6,1922위
18.92%낙선
선거인 수89,297투표율
37.87%
투표 수33,819
무효표 수1,091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덕천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여창호(余昌浩)9,7622위
31.79%낙선
2손상용(孫相龍)20,9451위
68.20%당선
선거인 수72,874투표율
43.09%
투표 수31,406
무효표 수699

2.5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이종택(李鍾澤)-1위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북구 제4선거구
덕천2동, 화명1동, 화명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허태준(許台俊)16,9701위
55.01%당선
7권태수(權泰洙)13,8752위
44.98%낙선
선거인 수58,606투표율
53.90%
투표 수31,594
무효표 수749

2.6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대근(朴大根)15,2301위
55.03%당선
2권경업(權景業)11,3182위
40.89%낙선
3변종철(卞鍾喆)1,1273위
4.07%낙선
선거인 수57,545투표율
49.14%
투표 수28,283
무효표 수608

북구 제4선거구
덕천2동, 화명1동, 화명3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상민(李相旼)21,1931위
51.14%당선
2이순영(李順榮)15,0972위
36.43%낙선
3이선자(李善子)1,7024위
4.10%낙선
4정규룡(丁奎龍)3,4433위
8.30%낙선
선거인 수71,130투표율
59.63%
투표 수42,419
무효표 수984

2.7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덕천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조남구(曺南球)18,7631위
52.83%당선
2강영두(姜永斗)13,4012위
37.73%낙선
3김만종(金萬鍾)3,3483위
9.42%낙선
선거인 수68,925투표율
53.27%
투표 수36,722
무효표 수1,209

2.8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북구 제1선거구
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덕천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문영남(文永男)11,3302위
37.98%낙선
2박대근(朴大根)18,4981위
62.01%당선
선거인 수65,912투표율
46.48%
투표 수30,639
무효표 수811
더불어민주당에서는 조남구 시의원이 불출마하므로 새로운 후보를 찾아야 한다. 나선거구[8]에서 구의원을 지낸 문영남 전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

국민의힘에서는 저번 선거에 불출마했던 박대근 전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박대근 후보가 약 24%p차로 승리하며 시의회에 복귀하게 되었다. 모든 동에서 박대근 후보가 61~63%대를 얻으며 1위를 차지하였다. 다만 비교적 민주당에 웃어주는 관외사전투표에서는 7.5%p차의 접전을 펼쳤다.


[1] A B C 북구 제1선거구 (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)[2] 북구 제2선거구 (금곡동, 화명동, 덕천2동)[3] A B 북구 제1선거구 (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금곡동, 화명동)[4] 3회 지선 북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5] A B 북구 제2선거구 (덕천1동, 덕천2동, 덕천3동, 만덕1동, 만덕2동, 만덕3동)[6] 구포1동, 구포2동, 구포3동, 덕천2동[7] 북구 제4선거구 (덕천2동, 화명1동, 화명3동)[10] [8] [8] 덕천1,3동, 만덕1동. 이 지역이 아닌 옆 지역구에 포함된 지역이다. 2선거구의 경우 노기섭 시의원이 이미 지역구를 잡고 있어 옮겨서 출마한 것으로 보인다.